단벌 숙녀 마틸다 칼에 대한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녀는 출근 준비를 할 때, 옷 고르는 시간을 빼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일에 더 집중하게 되며, 스스로를 의식할 필요도 없어진다고 한다.

단벌 숙녀 마틸다가 옷 선택으로 고민하지 않는 것처럼...

(실제로 그녀가 옷을 고르고 입는 시간은 45초라고 한다.)

소유가 적을수록 불만이 줄어든다. 반대로 소유하면 할수록 욕망이 커진다.

심지어는 사방이 물건으로 둘러싸여 숨이 턱턱 막히면서도 더 소유하길 원한다.

때로는 입고 싶은 옷을 입는 것이 아니라,

비싼 옷이 옷장에 걸려 있기에 입어 줘야 하는 일이

누구에게나 한 번쯤 있을 것이다.

이쯤 되면 사도 바울의 가르침, 자족을 생각해 볼 일이다.

 

자족은 가진 것이 별로 없을지라도,

넉넉히 가진 사람처럼 만족할 수 있는 상태이다.

다 가졌으면서도 만족할 줄 모르는 현대인의 모습이 오버랩 된다.

아무것도 없는 방까지는 아니어도, 무소유까지는 아니어도,

'어설픈' 미니멀리스트 정도는 되고 볼 일이다.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스스로 아름다운 절약을 선택해 만족하며 사는 것이다.

자족하며 사는 것은 소소한 기쁨을 위해 잠시 일을 내려놓는 것이다.

숲을 산책하며 명상하는 것이다. 해질 녘 석양을 보며 감사하는 것이다.

가족들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는 것이다.

우리가 처한 모든 상황 속에서 순간순간 만족 하는 것이다.

 

- 심플빈 저, <단순하게 산다는 것> 중에서

 

 

 

산다는 것은 주어진 운명에 그대로 따른다는 의미가 아니다.

근육을 단련시키듯이 조금씩 발전하고 혁신하는 것이다.

단순하게 사는 것도 마찬가지다.

자신이 원하는 방향을 설정하여 조금씩 완성해 가는 것이다.

요즘 PT 수업을 받는다. 트레이너가 늘 하는 말이 있다.

덤벨 무게를 조금씩 올리며 꾸준히 훈련하라는 것이다.

지속적인 훈련 없이는 멋진 몸, 탄력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자신의 한계를 조금씩 깨라고 말한다.

 

단순한 생활도 마찬가지다. 심플 라이프로 방향을 설정했다면

이 또한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보며 수정하고 꾸준히 나아가야 한다. 연습해야 한다.

다만 집착할 필요는 없다.

단순한 생활이 정착되기 시작하면 삶의 충만함과 기쁨을 알게 된다.

끊임없이 매너리즘의 틀을 깨고 나아가기 때문이다.

그러면 사소한 일에 감사하게 된다. 가벼운 몸과 마음을 갖게 된다.

경쾌한 삶의 리듬으로 의욕이 넘치게 된다.

 

뇌도 이 기쁨을 알게 되어, 자신의 삶을 즐기게 된다.

절제의 품위를 알게 된다. 천천히 그리고 재미있는 삶을 누리게 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단순한 생활은 무 자르듯이 한 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지속적으로 꾸준히 완성해 가는 것이다.

 

- 심플빈 저, <단순하게 산다는 것> 중에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