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보강토옹벽 주의점
1) 지지력설계
- 최소 근입깊이 유지
- 부등침하를 허용한다해도 동결깊이 이상으로 근입해야 한다.
- 기초지반이 연약할 경우 양질의 토사로 치환하고 기초콘크리트 타설
2) 지오그리드
- 구조 계산에 의해 나온 결과에 따른 강도와 길이로 그리드 설치
- 일반적으로 옹벽 하단에 높은 인장강도의 그리드가 설치 된다
- 그리드를 설치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뒷부분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킨다
- 그리드 설치가 완료되면 뒷채움 토사와 골재를 포설한다.
- 곡선부 지오그리드는 뒷채움토사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바로 겹치게 시공해서는 안된다
- 토사 5~7cm 포설 후 그리드 설치
- 블록위에 지오그리드 겹칠 경우 그리드 두께만큼 틈이 생겨 블록을 수평으로 맞추기 어렵다
겹치는 부분 절단하여 시공한다.
- 그리드 포설 후 토사를 포설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비 진입이 안되도록 해야 한다.
3) 전면블럭 경사 1~3도 유지
4) 지표수 및 지하수가 보강토 체내부로 침투되지 않게 관리한다.
- 지표수가 보강토체 또는 배면에 침투해 보강토옹벽에 수압이 작용할 경우 보강토 옹벽의 불안정이
증대 된다.
- 일반적으로 보강토옹벽은 수압을 고려하지 않고 전면 블록틈으로 배수되는 전면배수로 구조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 절취부에 설치할 경우 맹암거나 상부 배수로 설치를 고려한다.
5) 날개벽역할 보강토 시공시 박스 상단부와 보강토 상단부가 잘 맞도록 시공
- 보강토 옹벽전면은 경사가 있으므로 기초 시공시 박스보다 약간 앞쪽에서 시공해 위로 올라가면서 박스
전면과 일치하도록 시공한다.
- 박스와 접촉되는 부분은 보강토 옹벽을 약간 회전시켜 자연스럽게 맞춘다.
5. 품질시험
1) 다짐 완료 후 토사 두께는 20~30cm로 한다.
2) 다짐 완료 후 95%이상의 다짐도 확보
3) 품질시험 위해 장비 진입시 보강토블럭에서 최소 1m이내 접근 금지
6. 시공 후 점검
1) 돌출(배부름) 부위
2) 블록균열 발생 부위
3) 침하 발생 부위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