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의

- 본관과 분기관(가지관 등)의 연결지점에 설치되는 소켓(커넥터)

 

□ 특 징

- 연결부 수밀 시공(누수방지)

- 본관과 연결관의 일체화

- 시공 간편 및 자재비 저렴

- 연결부 내구성 우수(주철제)

- 미관 우수

 

□ 작업순서

1. 연결부 천공

2. 연결소켓(안장티) 삽입

3. 걸림턱이 닿을 때까지 삽입

4. 연결관을 연결소켓 내부 걸림턱에 닿을 때까지 삽입

5. 외부 몰탈 처리

6. 되메우기

- 층다짐 철저, 노상 다짐(아스콘 침하 발생 방지)

 

 

 

□ 기 타

1) 접속흄관

단점 : 시공 후 접속관의 각도 맞추기 어려움

 

 

2) 빗물받이 연결소켓 일체형

 

3) 접속 흄관

□ 참고자료

- 파형강관 안장티 시방서

----------------------------------------------------------------------------------------------------

https://youtu.be/tdMBmtKiaKM

 

 

'토목 > 배수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홀 인버트  (0) 2024.05.12
종배수관  (1) 2023.12.20
맹암거  (0) 2023.06.20
플륨관 부설  (0) 2023.04.26
토목 시공의 이해(L형측구)  (0) 2023.03.22

 

1. 정의

  - 전면에 블록을 설치하고 흙과 흙사이에 지오그리드나 기타 보강재를 넣어 토사를 안정시켜 옹벽이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물

○ 장점

  기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동절기에도 토사가 동결되지 않는다면 시공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좋다

 

2. 시공전 검토 사항

  1) 보강토 횡단면도와 토공 횡단면도 비교 확인

  2) 그리드 포설 가능한지(길이 확인)

 

3. 시공방법

  1) 보강토 좌표 측량

  2) 기초 터파기

  3) 기초 지지력 확인, 치환

  4) 기초 조립 및 con’c 타설

  5) 보강토 블록 설치

  6) 그리드 설치

  7) 뒷채움토 성토

  8) 보강토 블록 골재 포설

  9) 5 → 8번 반복 (매 단마다 검측 실시, 1단 : 그리드 설치 기준)

 

4. 보강토옹벽 주의점

  1) 지지력설계

    - 최소 근입깊이 유지

    - 부등침하를 허용한다해도 동결깊이 이상으로 근입해야 한다.

    - 기초지반이 연약할 경우 양질의 토사로 치환하고 기초콘크리트 타설

 

  2) 지오그리드

    - 구조 계산에 의해 나온 결과에 따른 강도와 길이로 그리드 설치

     - 일반적으로 옹벽 하단에 높은 인장강도의 그리드가 설치 된다

     - 그리드를 설치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뒷부분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킨다

     - 그리드 설치가 완료되면 뒷채움 토사와 골재를 포설한다.

     - 곡선부 지오그리드는 뒷채움토사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바로 겹치게 시공해서는 안된다

     - 토사 5~7cm 포설 후 그리드 설치

     - 블록위에 지오그리드 겹칠 경우 그리드 두께만큼 틈이 생겨 블록을 수평으로 맞추기 어렵다

       겹치는 부분 절단하여 시공한다.

     - 그리드 포설 후 토사를 포설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비 진입이 안되도록 해야 한다.

 

  3) 전면블럭 경사 1~3도 유지

 

  4) 지표수 및 지하수가 보강토 체내부로 침투되지 않게 관리한다.

     - 지표수가 보강토체 또는 배면에 침투해 보강토옹벽에 수압이 작용할 경우 보강토 옹벽의 불안정이

       증대 된다.

     - 일반적으로 보강토옹벽은 수압을 고려하지 않고 전면 블록틈으로 배수되는 전면배수로 구조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 절취부에 설치할 경우 맹암거나 상부 배수로 설치를 고려한다.

 

  5) 날개벽역할 보강토 시공시 박스 상단부와 보강토 상단부가 잘 맞도록 시공

     - 보강토 옹벽전면은 경사가 있으므로 기초 시공시 박스보다 약간 앞쪽에서 시공해 위로 올라가면서 박스

       전면과 일치하도록 시공한다.

     - 박스와 접촉되는 부분은 보강토 옹벽을 약간 회전시켜 자연스럽게 맞춘다.

 

5. 품질시험

  1) 다짐 완료 후 토사 두께는 20~30cm로 한다.

  2) 다짐 완료 후 95%이상의 다짐도 확보

  3) 품질시험 위해 장비 진입시 보강토블럭에서 최소 1m이내 접근 금지

 

6. 시공 후 점검

  1) 돌출(배부름) 부위

  2) 블록균열 발생 부위

  3) 침하 발생 부위

 

첨부파일

----------------------------------------------------------------------------------------------------------------------------

 

'토목 > 구조물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암거  (1) 2024.03.24
접속슬래브(Approach Slab)  (0) 2023.09.09
암거(BOX)구조물 좌표 구하기  (0) 2023.07.16
암거(BOX)  (0) 2023.06.25

 

2022년 하반기부터 새로 등록하는 건설기계 등록 번호표는 지역명이 없어지고

번호체계도 8자리로 되었습니다.

 

 

□ 주요 개선 내용

1. 번호체계

  1) 지역명 및 영업용(영) 표기를 삭제

  2) 7자리에서 8자리로 개편

 

2. 색상

  1) 영업용(대여사업용) : 주황색(바탕), 검정색(글씨)

  2) 자가용, 관용 : 흰색(바탕), 검정색(글씨)

 

3. 크기

  - 기종이나 구조에 따라 번호판 크기가 다르고 첨단안전장치 등을 설치할 경우 앞쪽 등록 번호표의 간섭으로

    부착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는 등 혼선이 있어 개편

 

  1) 규격: 가로 520㎜×세로110㎜×두께1㎜

 

     * “0”은 건설기계, “12”는 기종번호, “가 4568”은 일련번호

 

  2) 재질: 알루미늄 제판(KS D6701 A1050P “0”)

 

     * 기종번호는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 별표 1 참고(아래 첨부)

 

4. 내구성능 등

  1) 번호표에 대한 성능기준이 없어 쉽게 훼손되고 식별이 어려워지는등 품질 문제 발생

  2) 내마모성, 방수성, 카메라인식성 등 내구성능 및 시험기준 신설

 

 

□ 건설기계 기종번호 및 명칭

 

□ 첨부자료(관련법령)

 

1.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 별표 1(건설기계의 범위)

2. 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건설기계등록번호표의 규격·재질 및 표시방법)

[별표 2] 건설기계등록번호표의 규격ㆍ재질 및 표시방법(제13조제3항 관련)(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hwp
1.80MB

 

 

----------------------------------------------------------------------------------------------------

https://youtu.be/_MDc28BdoAg

 

 

 

 

1. 맨홀 인버트란?

수채통 또는 맨홀의 밑바닥을 연결하는 배수관을 같은 크기로 된 반원의 홈으로 연결한 맨홀 바닥 구조체이다.

 

2. 인버트 역할

  1) 하수관의 유지관리(맨홀 내에 퇴적물이 쌓이게 되면 작업 불편)

  2) 우,오수용 하수관의 관로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맨홀의 하수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3) 침전물의 침적을 방지하여 악취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3. 인버트 설치

  1) 인버트는 하류관거의 관경 및 경사와 동일하게 설치

  2) 인버트의 발 디딤부는 10~20%의 횡단 경사가 있도록 설치

  3) 인버트의 폭은 하류측 폭을 상류까지 같은 넓이로 연장하여 설치

  4) 상류관과 인버트 저부는 3~10cm정도의 단차가 바람직하다

     - 중간맨홀 3cm, 합류맨홀 3~10cm 정도가 바람직하다

  5) 인버트는 중간맨홀, 합류맨홀의 합류 및 흐름방향에 적합하게 설치하여 하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여야 한다.

 

4. 인버트 각도

 

 

서울하수도 과학관

https://sssmuseum.org/main/?mc_code=1316

 

하수도 소개 : 서울하수도과학관

하수도는 배수설비, 관로, 처리장 으로 구성됩니다! 우리가 사용한 물은 이렇게 처리됩니다. 하수발생 가정, 음식점 등에서 오수가 배출됩니다. 배수설비 버려진 오수는 오수받이에 모여 하수관

sssmuseum.org

 

https://youtu.be/yB98NZc7vx8

 

'토목 > 배수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수 본관과 가지관을 연결하는 소켓(안장티)  (0) 2024.12.15
종배수관  (1) 2023.12.20
맹암거  (0) 2023.06.20
플륨관 부설  (0) 2023.04.26
토목 시공의 이해(L형측구)  (0) 2023.03.22

 

□ 정의

Precast Concrete암거의 줄임말로 공장에서 철저한 품질관리에 의한 일체화된 단위제품으로 우수한 내구성과 수밀성 및 균일한 강도를 갖춘 제품을 생산해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고 설치가 가능한 암거를 말한다.

 

□ 장단점

 
장 점
단 점
  • 시공 절차 간소화
  • 회전,굴곡부 시공 어려움
  • 안전사고 위험 감소
  • 기존 구조물 연결 어려움
  • 공사기간 단축
  • 경제성 저하
  • 동절기 시공 용이
  • 중량 위주 작업
  • 품질관리 용이
  • 품질검사시 육안검사가 대부분
  • 수밀성, 내구성 양호
  • 자재운반시 파손 우려

 

 

□ PC제품 생산공정

 

□ PC 현장시공

 

□ 시공시 검토사항

- 터파기, 기초, 모래 등 각 부위별 레벨

- pc암거 상세도 작성(번호 생성)

- 점검맨홀, 유입부, 유출부, 기존구조물 연결부 등 확인(상, 좌, 우 방향 확인)

- 자재 운반시 시공 번호 구분 철저

- 작업전 자재 운반 차량 및 크레인 확보

- 되메우기

양쪽 균형있게 층다짐(밀림 방지)

유입관 천공부 차단(합판 등)

 

□ 첨부파일

--------------------------------------------------------------------------------------

https://youtu.be/-Zi7jpjWhio

 

 

'토목 > 구조물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강토 옹벽  (0) 2024.09.11
접속슬래브(Approach Slab)  (0) 2023.09.09
암거(BOX)구조물 좌표 구하기  (0) 2023.07.16
암거(BOX)  (0) 2023.06.25

□ 용어 정리

 

1. 암판정

토공의 절취, 구조물 기초 터파기 등의 작업중 나타나는 암질과 암반선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

2. 일축압축강도

시험편의 장축방향으로 압축 하중을 가했을 때 시험편이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하중

방향으로 수직인 시험편의 초기 단면적으로 나눈 값

 

3. 슈미트 해머시험

해머가 암반표면에 부딪칠 때 그 반발력을 측정해 암석, 암반의 강도나 탄성계수를 추정

 

4. 탄성파 속도 측정

시험편을 탄성파가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탄성파인 P파와 S파의 전파 속도를 구하는

비파괴시험이다

시험편을 기계에 연결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끼우고 적당한 힘으로 가압하여 탄성파가 송신자로부터

시험편을 거쳐 수신자에 이르는 데 소요된 시간을 계측하여 시험편의 길이를 소요된 시간으로 나누어

탄성파 전파속도를 결정한다

 

5. RQD : 암질지수(Rock Quality Designation)

시추코어중 10cm 이상되는 코아편의 길이의 합을 시추길이로 나우어 백분율로 표시한 값으로서 암질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이때 코아의 직경은 nx 규격이어야 한다

※ NX와 BX는 시추구경에 따른 국제규격 분류로서 NX size의 외경은 76mm(코아직경(내경) 54.7mm),

BX size의 외경은 60mm(코아직경(내경) 42mm)이다

 

6. TCR : 회수율(Total Core Recovery)

단위 시추길이에 대한 회수된 코어의 길이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값이다

암판정 절차

1. 현장보고

시공시 다음 사항이 발생할 경우 감리원에게 즉시 보고해야 한다

1) 현장의 토질이 설계 내역과 상이한 경우

2) 암반이 노출될 때

3) 기타 공법변경 및 설계변경이 요구될 때

 

2. 제출 자료

1) 발생위치

2) 암선 측량 도면

3) 현장사진

4) 수량산출서(토적표)

5) 변경 내역서

6) 기타 참고자료

3. 암판정 준비

1) 암선 노출(일부 or 전부)

- 법면 : 10m 간격으로 종방향으로 노출 시킨다

- 토질이 변경되는 곳은 추가로 노출 시킨다.

- 구조물 기초 : 전부 노출 시킨다

- 터널 : 암질 변화시

2) 암선 측량

3) 도면 작성

4) 수량 산출

5) 내역 작성

6) 암판정 일정 협의(비상주, 감독)

7) 물청소

4. 암판정

1) 암판정 망치 or 슈미트 해머 준비

2) 시료 채취 및 의뢰

3) 암선 측량(광파기 or GPS 준비)

4) 검측 사진 촬영

5) 도면, 수량 확정

6) 시험 결과 나오면 해당 내역 적용해 실정보고

7) 추후 설계변경 반영

 

참고자료

1. 암판정위원회 사전점검사항

 

2. 암판정 지침(도로공사)

도공지침_암판정.pdf
2.71MB

3. 표준품셈의 암반분류(건교부)

건설부 표준품셈의 암반분류.hwp
0.03MB

---------------------------------------------------------------------------------------------------

#cad#autocad #캐드 #토목 #횡단면도 #토목도면 #도로도면 #토목도로도면 #토목cad #기초 #암판정 #암분류 #리핑 #발파암 #연암 #경암 #슈미트 #해머 #풍화암 #측량 #광파기 #gps #암검측 #실정보고 #설계변경 #물청소 #횡단작성 #암선 #토적표 #암노출

 

 

 

'토목 > 토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시공의 이해(토공 기성)  (0) 2023.03.02
편경사  (0) 2020.08.26
토공 유동 프로그램(Mass Curve 4.0)  (0) 2020.07.21
토질주상도(시추 주상도), 표준관입시험  (0) 2020.07.20

 

1. 정의

미끄럼방지포장이란 노면의 미끄럼 저항이 낮아진 곳, 도로의 평면 및 종단 선형이 불량한 곳 등에서 포장면의 미끄럼

저항력을 높여 주어 자동차의 제동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

 

2. 종류

  1. 표면에 신재료를 추가하는 형식

    1) 개립도 마찰층

    2) 슬러리실

     3) 수지계 표면처리(가장 많이 사용)

  2. 표면의 재료를 제거하는 형식

     1) 그루빙

     2) 숏 블라스팅

     3) 노면 평삭

 

3. 설치 형식 및 색상

     1) 설치형식

       ① 1-3방식

       ② 3-6방식

     2) 색상

       도심지 내 : 빨강

       도심지 외 : 검정

 

4. 시공순서(수지계)

    1) 교통통제 및 안전시설물 설치

    2) 바닥 이물질제거 및 노면청소

    3) 미끄럼방지포장 경계부 테이프 부착

    4) 주제와 연화제 혼합(비율 1:1, 교반기 사용)

    5) 미끄럼방지 도료 고르게 도포

    6) 슬래그(규사 등) 도포

    7) 롤러 다짐 - 평탄성 및 논슬립작업(도료 및 슬래그가 잘 부착 되도록 롤러 작업)

    8) 테이프 제거 - 미끄럼방지 포장 도료가 양생이 되기전에 테이프 제거

    9) 양생 - 기상 고려해 1 ~ 2시간

    10) 현장 정리

 

 

5. 주의사항 및 문제점

  1) 설치두께 확인 어려움 - 초음파 측정기 활용

  2) 신규 포장 아스콘도로에 미끄럼방지 포장 설치 금지

  3) 설치폭, 이격거리 준수

  4) 미끄럼방지포장과 그루빙 병행 설치 지양

     *그루빙

      - 곡선 : 종방향 그루빙

      - 급경사지및 교차로 : 횡방향 그루빙

  5) 미끄럼방지포장 작업시 시공 속도 고려

  6) 두께 3mm 가장 적정 4~5mm 시공시 골재가 표면에 잘 나타나지 않아 미끄럼 효과 저하

  7) 조달청에 규격 두께를 4 ~ 5mm 올린 이유는 단가 상승위한 두께 조정?

  8) 미끄럼 방지 포장 구간 주기적 관리

    - 노후한 상태(균열, 마모 등)로 방치시 비나 눈으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률 증가

 

6. 첨부자료

     1) 미끄럼방지포장 지침(국토교통부)

1 미끄럼방지포장 지침(국토교통부).hwp
2.82MB

     2) 미끄럼방지포장_종류별_비교표

     3)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설치 가이드북(경찰청)

     4) 어린이 노인 장애인보호구역 통합지침 (2022년 개정),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5&nttId=91643

 

     5) 미끄럼방지포장재 품질기준

 

------------------------------------------------------------------------------------------------------------------------------------------------------------

https://youtu.be/SE053BuZy18

 

 

'토목 > 포장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차도 경계석  (0) 2023.11.19
아스콘 포설  (0) 2023.07.22

1. 종배수관 적용

○ 소규모 도로 횡단시 적용

○ 개수로 곤란한 경우 적용

○ L형측구만으로 배수량이 과다할 때, 측구 하단에 L/O 종배수관 설치

 

2. 시공 순서

1) 선형측량

  - 도면에서 좌표를 찾아서 선형을 측량한다(터파기 해도 측량점이 유지될수 있는점을 찾는걸 추천)

  - L형 종배수관의 경우 L형측구 앞선을 측량해서 L형측구 안쪽으로 관이 배열될수 있도록 한다.

2) 터파기

  - 관의 소켓부분 고려해서 터파기 레벨 설정

  - L형 종배수관은 횡단면도 레벨 추출

3) 기초 지반정지

  - 모래, 석분 포설, 기초시공(설계 참조)

4) 관 배열

  - 관 부설이 계속 작업이 되도록 관을 배열한다

5) 관(흄관) 부설

  - 집수정 자리, 관 선형, 레벨 체크

  - 낮은 곳부터 부설한다

  - 실링바 양호한 것 사용

4) 관 컷팅(컷팅기 사용시 주의 - 물 필수, 먼지발생)

5) 관 소켓(칼라) 부분 몰탈 작업(1:2, 시멘트 : 모레)

6) 되메우기

- 양질의 토사 사용(관에 하중이 가지 않는 재료)

- 층다짐 실시(인력다짐)

- 노상 다짐시 관 부분 진동 다짐 금지

7) 면벽 및 집수정 시공

- 집수정 선 작업시 관규격에 맞게 개방

- L형측구 집수정 시공시 측구 기초 하단까지만 시공(기계타설시 걸리지 않도록 시공)

- 면벽 시공시 옆구조물과 연결되게 시공 추천(미관 우수 및 되메우기 가능)

 

3. 주의사항

○ 종배수관 옆 맹암거 존재시 맹암거 선시공

○ 맹암거는 법면쪽으로 시공

당 초

변 경

4. 종배수관 관 비교

5. 종배수관 관저고 계산기

6. 배수관 수리계산서

----------------------------------------------------------------------------------------------------

https://youtu.be/IJYBYzdkOyU

 

 

#cad #autocad #캐드 #토목 #횡단면도 #토목도면 #도로도면 #도면 #토목cad #배수관 #맹암거 #면벽 #시공 #L형측구 #관부설 #몰탈 #배수공 #다짐 #되메우기 #파형강관 #vr관 #배수구조물공 #터파기 #맹암거 #집수정 #종배수관 #관저고 #흄관 #수리계산 #절토부

 

'토목 > 배수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수 본관과 가지관을 연결하는 소켓(안장티)  (0) 2024.12.15
맨홀 인버트  (0) 2024.05.12
맹암거  (0) 2023.06.20
플륨관 부설  (0) 2023.04.26
토목 시공의 이해(L형측구)  (0) 2023.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