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암거
노면아래의 지하수위를 저하시켜 도로의 지지력을 확보시키기 위한 지하 배수시설이며
지하수를 받아주고 물이 원활하게 배수 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설치한다
1) 맹암거의 설치위치
① 흙깎기부의 길어깨
② 편절, 편성 및 절성 경계부
③ 용수다발지역
2) 유공관의 내경은 200mm를 표준으로 하고, 유공관 구멍의 직경은 1.5~2.0cm,
종단경사는 0.5% 이상이 바람직하나 최소 0.2% 이상으로 한다.
3) 흙깎기 비탈면에 용수가 있을 때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는 맹암거로 한다.
4) 도로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맹암거는 유공관을 두지 않는 것으로 하며 도로 중심선과 60°의 각도로 설치한다.
5) 도로 종방향의 맹암거는 유공관을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암구간(리핑암과 발파암에는 부직포를 두지 않아도 된다.
6) 산악지 도로에 설치되는 지하 배수시설은 유입되는 지하수와 침투수를 차단하여 도로의 쌓기부 및 깎기부의
지반붕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설로서 기존의 일반 도로보다 용량을 확대하여 적용함.(기존 Φ200 → Φ400)
<각 형식별 적용기준>
시공순서
1. 터파기 및 지반정지
2. 부직포 설치(형식 확인)- 토사가 많은 지역에 설치(이물질 투입 방지) 암석이 많은 지역 부직포 미설치
3. 관부설(형식 확인)
- 유공관의 구멍은 아래로 향하게 설치
- 유출부(집수정 인근 3m)에선 유공관 구멍은 위로 향하게 설치
4. 관 시작부위 봉합, 구조물(집수정, 측구 등)과 접촉부위 미리 확인하여 시공전 연결부위 개방
![](https://blog.kakaocdn.net/dn/b069FF/btsknN8znXK/wtB3nS1CygVPgq50H2Gk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4tMV/btskrnaGgSx/z6L6Kr2yFZcSh8M3B91Yk0/img.jpg)
5. 뒷채움 (알골재)
6. 부직포 마감
7. 상부 토공 다짐시 진동 없이 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