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속에서 삶의 이치를 배우는 것은

자신의 삶에서 의미를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귀중한 통찰력을 가르쳐 준다.

자연은 조화롭고 균형 있고 상호 연결된 작동 방식을 가지고 있다.

자연계를 연구하고 관찰하면

자신과 우리 주변의 세계와 균형을 이루고

조화롭게 사는 방법에 대한 더 나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자연은 우리 자신의 삶에서 목적과 의미를 찾도록 영감을 준다.

자연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일하는 것이든

우리는 자연계와 연결됨으로써

목적 의식과 성취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작가이자 박물학자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이렇게 말했다.

 

매 계절이 지나갈 때마다 살아라.
공기를 마시고 음료를 마시고 과일을 맛보고
지구의 영향에 스스로를 체념하라.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삶의 목적을 찾는 45가지 방법> 중에서

 

60세를 넘겨 정년퇴직하고 유유자적한 생활을 보낼 수 있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수십 년 전과는 달리 환경이 변해,

60세가 지나서도 계속 일을 하는 게 상식이 되어 가고 있다.

'아직 대출금이 남아 있기 때문'이거나

계속 일을 하면 좋겠다는 아내의 무언의 압력'으로

자신의 의사에 반해서 일을 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오랜 기간 남편을 뒷바라지한 아내로서도 솔직히 “그동안 수고했어요.

이제 좋은 곳에 놀러 다니며 푹 쉽시다" 하고 선뜻 말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아내 입장에서는 길었던 갱년기 장애도 견뎠고,

자녀의 대학 진학을 위한 수험 전쟁도 지났다.

드디어 친구와 천천히 여행도 가거나

지금까지 하지 못했던 취미에 몰두하고 싶은 참이다.

제2의 청춘이라고도 불리는 이 시기에

정년퇴직한 남편의 수발을 들어라? 당연히 사양하고 싶을 것이다.

 

'그동안은 제대로 말할 기회가 없었다, 말은 했으나 진지하게 듣지 않았다'라고

토로하는 아내들이 많다.

비록 말은 못해도 오랫동안 쌓인 미움이

생각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을 남편은 알아야 한다.

혹시 지금 이 부분을 읽고서 조금이라도 마음에 짚이는 게 있는 사람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도 일하러 계속 나가려는 마음이 중요하다.

 

일을 통해 사회와도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삶의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확실히 정년 이전보다 60세가 지나면서 자유롭게 쓸 시간이 훨씬 많다.

리모컨을 꽉 쥐고서 하루 종일 텔레비전 앞에서

뒹굴 거리기에는 인생이 아깝지 않은가.

정년 후에도 일하는 것에 긍정적으로 대응하고 적극적으로 활동하자.

 

요코테 쇼타 저, <나이드는 게 두렵지 않습니다>중에서

 

편견을 버리기에 너무 늦은 때는 없다.

-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편견은, 사회 및 집단 내부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지거나
어린 시절 가정이나 다른 연장자와의 접촉을 통해 배우거나 획득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런 편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합리적, 구체적, 객관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환경을 만들어줌은 물론
본인 스스로 다른 이들과의 소통을 넓히는 데 힘써야 합니다.

'하루1분, 행복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뜻하게 친절하게  (0) 2023.04.12
다른 생각, 다른 의견  (0) 2023.04.02
봄날의 꽃말을 선물합니다  (0) 2023.03.28
친구는 인생의 별과 같다  (0) 2023.03.25
쉼표  (0) 2023.03.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