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차도 경계석이란?

 

보차도 경계석은 주로 노면배수, 시선유도, 도로용지의경계, 유지관리 및 청소 등의 편리를 위해 설치한다.

보차도 경계석은 도시부 도로에서 보차도 분리 등 횡단구성 요소의 시설이다.

 

연석의 모서리 부분은 곡선으로 모따기 하여 충돌시 타이어 파손을 예방한다.

2. 보차도 경계석 설치

 

1) 경계석(경계블록)은 설치하기 전에 깨끗하게 청소하고 운반, 취급중에 손상된 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2) 경계석(경계블록) 줄눈 간격 유지를 위해 경계석(경계블록) 측면에 부착물 및 돌기를 설치한다.

 

3) 경계석(경계블록)의 줄눈 간격은 5~10mm를 기준으로 하며, 용적배합비 1:2(시멘트:모래)의 줄눈 모르터를 밀실 하게 채우거나       

     5mm이상의 간격유지 밴드를 부착하여 마무리한다.

 

4) 곡선부에는 곡선 경계석(경계블록)을 사용하고 가각부위 및 절곡지점에서는 전동 커터를 사용하여 정확히 연결 시공하여야 한다.

 

5) 줄눈모르터 및 바닥콘크리트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 후 되메우기를 하여야 한다.

 

6) 블록포장 구간의 전단 지지력 증가를 통한 경계석(경계블록) 이탈 방지를 위하여 후면에 뒤채움 콘크리트의 폭과 높이는 10cm로

    시공하여야 한다.

     단, 블록 기초가 몰탈 시공일 경우는 당초대로 5cm로 시공할 수 있다.

 

7) 보차도경계석의 앞 채움 콘크리트는 L형측구와 동시에 같이 타설한다.

 

3. L형측구 및 보차도경계석 표준도

 

4. 참고자료

1) 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6조(보도)

2) 보차도경계석 규격서

3) 보차도경계석 설치기준(Koland)

보차도경계석 설치기준(한국토지공사).pdf
0.01MB

4) 서울시 보도공사 설계시공 매뉴얼 ver2.0

5) 서울시 보도공사 상세설계 표준도

--------------------------------------------------------------------------------------

https://youtu.be/LGBsZD_iy1Q

#보차도경계석 #경계석 #대지경계석 #보도공사 #자연석경계석 #상세도 #표준도 #설계 #서울시 #보도블럭 #L형측구 #연석 #모따기 #노면배수 #시선유도 #용지 #경계 #도로 #보도 #분리 #횡단 #유지관리 #청소 #설치 #편리 #시설

'토목 > 포장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끄럼방지 포장  (0) 2024.02.01
아스콘 포설  (0) 2023.07.22

□ 수밀시험 개요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누수확인을 위한 시험으로 보통 오수관에 많이 시행합니다

 

과거에는 대부분 수밀시험을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공기압이나 연막시험도 많이

이용중입니다.

 

1차적으로 CCTV를 통해 관 내부 상태를 점검 후 접합부의 불량을 점검하기 위해

수밀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 수밀시험 작업순서

1. 관로의 낮은 쪽 끝, 필요에 따라 지관에도 전수압에 견딜 수 있는 마개를 끼운다.

 

2. 높은 쪽의 끝에도 이와 유사한 마개나 버팀목을 설치하되 호스나 수직파이프를

용이하게 세울 수 있도록 한다.

 

3. 기포가 차지 않도록 물로 채운다.

 

4. 수직시험관에 필요 수위까지 물을 채운다.

 

5. 관로가 포화될 때까지 최소한의 예비시간(콘크리트 계열 30분∼1.0시간,

비콘크리트 계열 10분)동안 방치한다.

 

6. 예비시간 후 다시 상류 수직시험관의 수두가 최소 1.0m 이상을 유지하도록 물을

채운 후 30분 이상에 걸쳐 수직시험관의 최초 수두 1.0m 이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물의 량을 측정한다. 수직시험관은 5분 간격 또는 100mm 이내의 수두

저하가 일어날 때 주수하여 최초수두를 유지시켜야 한다.

 

 

□ 누수 요인

1. 파이프의 공극/ 틈

2. 손상되거나 불량 혹은 불완전하게 연결된 파이프의 연결부

3. 용존되어 있는 공기

4. 결함이 있는 마개

5. 파이프나 마개의 변동(움직임)

 

□ 작업사진

□ 참고자료

- 하수관로공사 표준시방서

하수관로공사+표준시방서.PDF
3.14MB

 

 

 

1. 접속슬래브

침하가 이루어지지 않는 교량 및 암거부위와 침하가 이루어지는 성토구간에 불균일한 구조에서  교량 부위의                   다웰바에충격전달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규격화된 공정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간단하게 설치, 시공할 수 있다

2. 상세도면 및 접속슬래브 자재

 

 

3. 접속슬래브 자재

○ 접속슬라브 자재는 교량 및 암거 등의 구조물 접속슬라브의 다웰바 설치시 같이 설치해진동,

     충격에 대해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자재다

1) 타르페이퍼

○ 섬유질을 함유한 부드러운 원지에 브로운 아스팔트 (Blown Asphalt) 를 침투시켜 물을 흡수하지않아 변형이 없고            내수성이 강한 아스팔트 펠트 (Asphalt Felt)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화 아스팔트(Rubberized Asphalt)        를 넣어 만든 타르페이퍼 (Tar Paper) 는 교량 등의활하중을 적절히 흡수하여 접속 부분의 균열 (Crack) 을 방지하          는데 특히 탁월하고 산화현상을 막아주는 제품

 

○ 특징

- 복개 구조물의 접속 슬래브에 탄성 고무 받침 (Hardened Rubber Pad) 과 함께 혹은 단독으로사용하여 구조물의          분리 및 완충 목적으로 사용

- 도로에서 단교량의 교대 및 통로 구조물의 접속 슬래브의 연결 부분에 사용하여 구조물의분리 및 완충 목적으로 사용

- 각종 탱크의 바닥면과 콘크리트 사이에 설치하여 탱크의 부식 및 콘크리트 Crack 방지

- 반영구적이며, 충격에 강함

 

2) 탄성고무받침

 

○ 네오프렌과 천연고무를 원료로 제작되어 내구성과 내후성이 탁월하여 교량 등의 충격하중시구조물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적용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기위해 사용되는 제품

 

○ 특성

- 내유성, 내산성, 내오존성, 내저온성이 우수하여 반영구적

- 용도에 맞게 규격화되어 있어 일반고무판을 구매, 가공할 때보다 일위대가가 저렴

3) 블론 아스팔트

○ 블론아스팔트는 석유 아스팔트를 주원료로 220~250°C의 고온에서 공기를 불어넣어공기에 의한 산화반응 및 축합          반응을 시켜 탄성력이 큰아스팔트로 만든 것으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하여 아스팔텐 함유량이 많고 페트로렌          의 함유량이 적어 내열성이 우수하며,충격 저항력이 강하고 감온성이 적음

 

○ 사용

- 170 ~ 230°C로 가열 용해하여 사용(1~2시간 가열하면 액체가 된다)

- 국부가열이나 과열이 되지 않도록 잘 교반한다

- 용융중의 최고 허용 온도는 250°C이하로 한다

-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을 하지 않는다

- 고온에서 운반 및 시공을 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4) 다웰바(Dowel Bar)

○ 다웰바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동침하시 수직응력을 증대시키고 수축팽창변위(수평변위)시에일정방향으로                     균일하게 변화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으로 일반 이형철근에 비해 탄소함량이 높아 강성이 우수하여 많은           공사현장에 미각 처리된 다웰바를 사용하고 있음

5) 격자받침

○ 침하가 가능한 성토구간의 불균일한 구조에서 다웰바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시켜준다

6) 보호스프링

○ 강관을 보호함으로써 수평면 위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

7) 강관파이프

○ 다웰바가 시공된곳에 파이프를 설치해 블론아스팔트를 채워 충격 및 이탈, 수축팽창의 변위에서도 일정 방향으로           변화 후 원할히 복원이 되게 잡아줌

 

'토목 > 구조물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강토 옹벽  (0) 2024.09.11
PC암거  (2) 2024.03.24
암거(BOX)구조물 좌표 구하기  (0) 2023.07.16
암거(BOX)  (0) 2023.06.25

 

□ 공기량 시험기(워싱턴 형)

 

□ 공기량 시험 방법(주수법, 무주수법)

1. 공기량 시험기 내부 청소

   - 공기량 시험기 내부를 깨끗이 닦는다

 

2. 용기기준 3층으로 나눠서 콘크리트 넣고 다지기

 

 

 

- 1층 : 용기의 1/3만큼 넣고 고르게 한 다음 용기 바닥에 닿지 않도록

             다짐봉으로 25회 균등하게 다진다.

 

 

 

 

 

 

다짐 구멍이 없어지고 표면에 큰 거품이 보이지 않게 되도록 하기 위해

용기의 옆면을 10 ~15회 고무 망치로 두드린다.


- 2층 : 용기의 2/3까지 넣고 전회와 같은 조작을 반복한다.

 

 

 

 

 

 

 

- 3층 : 용기에서 조금 흘러넘칠 정도로 시료를 넣고 같은 조작을 반복한다.

 

 

* 다짐봉의 다짐 깊이는 거의 각층의 두께로 한다.

 

 

 

 

 

3. 곧은자로 여분의 시료를 깎아서 평탄하게 한다.

 

 

 

 

4. 용기와 덮개가 잘 부착 되도록 접착부분 (빨강색부분)을 수건으로

    깨끗하게 닦는다.

 

 

 

 

5. 덮개를 덮고 고정나사를 조인다.

 

- 공기가 새지 않도록 고정나사는 대각선 (좌,우), (상,하) 로 조인다.

 

 

 

 

 

 

 

 

 

 

 

 

1~5번까지는 주수법, 무주수법 동일

 

 

6. 밸브조절

- 주수법 : 배수구와 주수구를 열고 압력조정구, 공기핸드펌프를

                   조인다.  (→ 7번으로)

 

 

 

- 무주수법 : 모든 밸브를 닫는다.  (→ 9번으로)

 

 

 

 

7. 주수구에 물을 주입한다.(주수법만 해당)

 

- 물 주입을 하고 나면 배수구에서 물이 나오게 됩니다.

 

   첨에는 공기와 섞여서 나올수 있습니다

   물만 나오게 될때까지 물을 주입하면 됩니다.

8. 배수구 및 주수구 밸브 닫는다

 

9. 공기 핸드 펌프를 열어 초기 압력보다 높아질 때까지 펌핑 후

     밸브를 닫는다.

펌핑 하게 되면 화살표 방향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펌핑으로 바늘을 한바퀴 돌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0. 압력 조정구 밸브를 조금씩 열어서 압력계의 게이지를 맞춘다

* 압력계의 안정을 위해 손으로 가볍게 두드리면서 초기 눈금에 일치시킨다

- 주 수 법 : 1 (검정)

- 무주수법 : 0 (빨강)

11. 약 5초 후 작동밸브를 누른다.

- 밸브를 충분히 열고 난 후 용기의 측면을 고무망치로 두드린다

 

 

- 다시 작동밸브를 충분히 열고 압력계를 가볍게

두드리면서 지침이 안정되면 게이지를 확인한다.

 

 

 

 

 

 

12. 게이지 확인(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읽는다)

- 주 수 법 : 검정색 눈금

- 무주수법 : 빨강색 눈금

 

13. 공기량 계산

- 측정된 게이지 숫자를 겉보기 공기량에 기입한다.

 

예) 겉보기 공기량(측정값) : 5.5

골재수정계수(문제에 주어짐) : 0.9

공기량 계산 : 5.5 - 0.9 = 4.6

 

14. 측정 종료 후 에 덮개를 떼기 전에 주수구와 배수구를 열어 압력을 푼다

 

15. 시험기구를 깨끗이 정리한다.

 

 

아래 사이트에 가시면 KS원문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KS F 2421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

 

https://www.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menuId=919&topMenuId=502&upperMenuId=503&ksNo=KSF2421&tmprKsNo=KSF2421&reformNo=13&displayBlock=none&displayBlock2=block

 

국가표준 상세 | e나라 표준인증

국내외 300여개 표준인증 관련기관의 정보를 수집하여 알려드립니다.

www.standard.go.kr

-------------------------------------------------------------------------------------------------------------------

https://youtu.be/inc9JZJMZvU

 

 

'토목 > 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밀시험  (1) 2023.10.14
철근 표기 방법  (0) 2023.04.30
콘크리트 구조물 내구성 설계 및 시공기준 적용 가이드라인  (0) 2023.04.01
아스콘 품질 시험  (0) 2023.03.29
2019 품질관리시험 이론과 실무  (0) 2023.03.18

실기 필답형 요점정리.hwp
0.06MB

실기 필답형 요점정리 입니다. 

참고하세요

 

'토목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기사 필기 요점정리  (0) 2023.05.29
전라남도 소규모 건설공사 설계기준  (0) 2023.04.29

1. 작업 시작 전

 

1. 아스콘 포설 면적 확인 후 수량 산출(캐드에서 산출 후 수량산출서와 확인)

2. 아스콘 포설 폭 및 두께 확인(아스콘 비용에 민감)

3. 아스콘 포장 시작점, 일정 확인 必

4. 아스콘 공장 1달전, 1주일전, 1일전 해당물량 배송가능 여부 확인

5. 포장회사도 미리 시공 일정 협의

    - 덤프 진입로, 시공위치 등 협의

6. 아스콘 공장 고장 대비

7. 편구배 확인 – 구배 숫자 표기(흰색락카)

8. 편구배 변화 구간 확인(회전구간 등) – 흰색락카 표기

 

2. 작업 시작

 

1. 유제 포설시 L형측구 등 구조물에 묻지 않도록 포설(24시간 양생)

2. 최소 작업 전일까지 포장 장비 반입 – 현장 하차 위치 확인(피니셔 이동 최소화)

3. 보통 새벽 6시 ~ 7시 포장 시작

4. 최소 하루 1000ton 이상 시공하도록 해야함(투입대비 따져볼것)

장비

1) 아스팔트 피니셔

- 구배 설정, 센서작동, 아스콘 1차 다짐, 아스콘포설, 장비 설정 작업원 실력 중요

2) 머캐덤 롤러

- 1차 다짐

- 아스콘 온도 130~160도로 내려갈 시 출발

- 이동속도 3 ~ 6 km/hr

- 다짐 횟수 6 회(폭 4.5m 기준)

3) 타이어 롤러

- 2차 다짐

- 아스콘 온도 110~ 140도로 내려갈 시 출발

- 이동속도 4~ 10 km/hr

- 다짐 횟수 7 회(폭 4.5m 기준)

 

4) 탠덤 롤러

- 3차 다짐

- 아스콘 온도 65 ~ 95도로 내려갈 시 출발

- 이동속도 5 ~ 8 km/hr

- 다짐 횟수 3 ~ 5 회(폭 4.5m 기준)

※ 시공중 주의 사항

○ 아스콘 운반 덤프 송장 확인(송장 번호, 수량, 규격 등)

○ 표층시공시 차선라인에 아스콘 이음부 생성 유도

○ 아스콘 이음부 표층, 중간층, 기층 겹치지 않도록 시공

○ 시공구간 중간에 아스콘 마감시 부목 등을 대서 반듯하게 마감할 것(다음 아스콘 시공 대비)

○ 구조물 미시공 위치는 포설 폭을 넓혀 시공한다. 추후 컷팅 후 구조물 시공

- 교통섬, L형측구 등

 

○ 사거리 교통섬 같은 경우 포장 후 시공하는걸 추천

○ L형측구에서 0~0.5cm 정도 높게 시공하는걸 추천(배수유도)

○ 보조기층에서부터 0~0.5cm 높게 시공해 놓는다

 

▶ 접합 부

○ 기존 아스콘 접촉부위는 반듯하게 컷팅하고 유제 포설 후 접합한다.

○ 기존 도로 접합시 구배 완만하게 접합

▶ 맨홀 부

○ 아스콘 시공전 구배 및 레벨 확인 후 맨홀 배치

○ 아스콘 시공후 처리도 가능함

 

▶ 아스콘 규격 변경 시점[예) 기층 → 중간층]

○ 마지막 기층 배차는 기층 수량 체크 후 주문(수량 = 폭 × 길이 × 2.35)

○ 중간층 배차 도착시 송장 확인

 

덤프 적재함 잔재 아스콘 청소시 소음 주의(주변 민원 발생)

포장 시작하면 주변 민원 발생 가능성 있음(포장 요청)

 

3. 작업 완료 후

1. 포장 후 2~3일내 차를 태우지 않는걸 추천

- 아스콘 변형 및 손상 방지

2. 부득이 차를 태운다면 바퀴 회전을 최대한 완만하게 할 것

- 궤도장비 및 중장비 절대 진입 금지

- 유턴, 급회전시 아스콘 표면 손상

3. 가로등 등 자재 장기 방치 금지(아스콘 눌림 발생 가능)

4. 차량 통행시 변형 부분이 있는지 확인

5. L형측구에 배수가 불량인 지역이 있는지 확인

- 배수 불량 구역 대책 마련(L형측구 벽체 호스 삽입, 벽체 개방 등)

6. 교량 신축이음 부분 컷팅 후 시공

- 진입로 차단 후 시공(작업차량만 통행)

7. 송장 정리 및 수량 정산

4. 참고서류

포장시 감독 메뉴얼.pdf
0.87MB

 

 

---------------------------------------------------------------------------------------------------

https://youtu.be/_LNIwVm0NpI

 

 

'토목 > 포장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끄럼방지 포장  (0) 2024.02.01
보차도 경계석  (0) 2023.11.19

1. 해당지점 도로중심점을 확인한다.

- 측량 프로그램 활용(coco, k도로 등) 추천

▶ 종평면도상에서 대략 중심점 구했을때 별 차이가 없을때(5cm 이내)는 그냥 그려도 무방할듯 하나

     기존 도로와 연결라인을 한번더 확인한다

 

2. 도로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직점을 만든다.

3. 암거 연장만큼 수직선을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그린다.

4. 암거 폭을 확인하고 벽체 안쪽선과 바깥선을 그린다.

5. 날개벽의 사각을 확인하고 암거 중심선을 회전해서 날개벽 방향을 만든다.

6. 날개벽 선을 기준으로 양쪽 암거 벽체선을 맞춘다.

7. 날개벽 길이와 폭을 확인하여 조정한다.

8. 종평면도에 그려진 기존 암거 도면과 새로 그린 암거 도면을 확인해서 오차를 확인한다.

9. 해당체인 토공 횡단면도를 그려서 횡단까지 확인한다.

10. 감리단 또는 감독과 협의해서 암거 최종 도면을 확정하여 시공을 시작한다.

----------------------------------------------------------------------------------------------------

영상에서 날개벽은 안쪽으로 옵셋을 해야 맞습니다. 감안해서 보세요.

https://youtu.be/b8nbIe5i8mM

 

'토목 > 구조물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강토 옹벽  (0) 2024.09.11
PC암거  (2) 2024.03.24
접속슬래브(Approach Slab)  (0) 2023.09.09
암거(BOX)  (0) 2023.06.25

작업 시작 전

1. 통로암거

1) 기존연결도로와 종단(레벨 등) 확인

2) 구배(배수방향)

3) 규격(주변 민원 확인)

4) 지하 구조물

5) 토피 및 상부 구조물과 접촉여부 확인

 

2. 수로암거

1) 구배

2) 규격(배수용량 확인)

3) 유출부 수로 확인(규격, 방향 등)

4) 날개벽 방향 결정

5) 지하 구조물

6) 토피 및 상부 구조물과 접촉여부 확인

 

3. 암거 일반도의 레벨을 해당체인 토공 횡단면도상에 입혀 레벨을 크로스 체크한다.

 

작업시작

1. 박스 터파기 라인 측량

2. 수로암거 터파기시 수로이설 계획 세울 것

3. 터파기 지반 정지 및 지지력 시험(평판재하)

- 지지력 미달시 잡석 기초 or 암석 치환 작업

4. 버림거푸집 라인 측량, 거푸집 조립

- 버림콘크리트 타설이 잘 되야 기초 철근 거푸집 작업이 수월하다.

 

▶ 버림 콘크리트

1)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전 바닥면을 고르고 시멘트 페이스트가 땅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타설

(버림 치기전 비닐 설치)

2) 버림 콘크리트 두께 5~10cm

3) 구조물이 다져진 지표면으로부터의 구조물의 보호기능, 구조물의 안정적인 규형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

(기초 철근 작업시 수평잡기 어려움, 스페이서 많이 들어간다. 철근 피복두께 문제 발생)

 

5. 기초

- 철근 조립전 구조물의 모서리 사각점 측량

1) 철근 가공은 미리 작업

2) 철근 먹 튀기기

3) 철근 운반 및 조립 시작

- 철근 운반 전 운반로 확인 등 작업 야드 확보

4) 철근 수량, 간격 확인

5) 기초 거푸집 조립

6) 철근 피복 두께 체크

7) 신축이음 설치(다웰바 설치, 지수판 설치), 청소(살수작업)

8) 검측 후 기초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비닐 등)

9) 타설 후 어느정도 굳었을 경우에 표면 균열 제거(중망치 등 이용)

 

▶ 수팽창 지수재 설치 방법

1안) 도면처럼 홈파기 해서 설치가능 하나 수분 접촉시 시공중 이미 팽창해버림

2안) 콘크리트 굳기 전 꾹꾹 눌러서 설치

3안) 기초 벽체 접합부위 치핑 후 설치

6. 벽체, 슬라브

1) 벽체 철근 조립

2) 벽체 신축이음(15~20m), 수축줄눈(6m내외) 설치

3) 벽체 거푸집 조립(내부 무늬거푸집 사용)

4) 동바리 설치(구조계산서 확인)

5) 슬라브 거푸집 조립

6) 슬라브 철근 조립

7) 슬라브 신축이음 설치, 청소

8) 검측 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비닐 등)

 

진동다지기(바이브레이터) 사용 주의사항

-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바이브레이트를 아래까지 깊숙이 수직으로 넣을 것

- 한곳에 5초 이상 머무르지 않는다.

- 간격은 보통 0.5m 이하로 한다

- 발전기 및 휘발유 확인

9) 타설 후 어느정도 굳었을 경우에 슬라브 표면 균열 제거(중망치 등 이용)

10) 양생 후 우수유입 방지턱 실란트 처리

12) 거푸집 해체 후 벽체 재료 분리 여부 확인

13) 거푸집 타이 핀 제거 및 마감 작업

14) 벽체 아스팔트 방수

7. 날개벽 시공(보통 벽체와 동시 시공)

1) 외부 무늬 거푸집 사용

2) 배수 파이프 시공(되메우기 부분 부직포 설치)

3) 되메우기 부분 아스팔트 방수

 

8. 뒷채움 및 되메우기

1) 뒷채움 관리도를 만들어 시험 시기를 확인한다.(캐드, 벽체에 층마다 표기)

2) 뒷채움은 20cm, 되메우기는 30cm를 1층으로 다진다.

3) 구조물 접촉부위는 콤팩터로 다진다.

4) 뒷채움 길이를 층마다 잘 확인하면서 작업 진행

 

9. 접속슬래브 시공

1) 버림 콘크리트 타설

- 타설전 그라우팅 호스 주입(호스 중간 중간 구멍 낼 것 - 추후 지반보강시 사용)

2) 아스팔트 충진재 가열(1~2시간 소요, 주기적으로 저어줘야 함)

3) 타르페이퍼 설치

4) 다웰바 설치

5) 아스팔트 충진재 채움(뜨거운 상태 이므로 운반시 주의)

6) 돼지꼬리 철근 설치(공장 가공)

7) 접속슬래브 철근 설치

8) 거푸집 조립

9) 검측 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

 

'토목 > 구조물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강토 옹벽  (0) 2024.09.11
PC암거  (2) 2024.03.24
접속슬래브(Approach Slab)  (0) 2023.09.09
암거(BOX)구조물 좌표 구하기  (0) 2023.07.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