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염화물 시험(KS F 4009 부속서)

1) 시험

-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염화물 염소 이온의 총량으로 표시

- 무근 콘크리트의 경우 적용하지 않음

2) 시험시기 및 횟수

- 해사를 사용할 경우 타설 초기 및 150㎥ 이상

- 그 외의 경우 1회/1일

3) 시험방법

- 레미콘을 일정량 받는다 (레미콘 삽을 이용하면 좋다)

- 레미콘 안에 염화물 측정기의 봉을 삽입한다.

- 측정기의 측정 시작 버튼을 누른다.

- 측정기에서 측정수치가 인쇄되어 나온다.

4) 판정기준

- 원칙적으로 0.3kg/㎥ 이하

-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얻는 경우 허용상한 값 0.6kg/㎥

#cad #autocad #캐드 #토목 #횡단면도 #토목도면 #도면설명 #도로도면 #토목cad #보고서 #측량 #레벨 #평판재하시험 #지내력 #시험 #염화물 #레미콘 #측정기 #감리 #슬럼프 #콘크리트 #들밀도시험 #품질시험 #토목품질 #굳지않은 #ksf4009 #KSF2713 #워커빌리티 #반죽질기 #함유

 

'토목 > 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량 시험  (0) 2020.08.19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KS F 2405)  (0) 2020.08.14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KS F 2402)  (0) 2020.08.12
평판재하시험  (1) 2020.08.11
들밀도 시험  (0) 2020.08.10

1. 시험목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워커빌리티를 판단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

[ 용어 참고 ]

반죽질기(consistency) : 주로 물의 양의 많고 적음에 따라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말하며,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것

워커빌리티(workability) : 반죽질기가 어떤가에 따르는 작업의 어렵고, 쉬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말한다.

2. 시험 기구

- 슬럼프 콘

- 다짐봉 : 지름 16mm, 길이 500~600mm의 강 또는 금속제 원형봉으로 그 앞 끝을 반구 모양

으로 한다.

- 시료 : 시료는 KS F 2401의 규정에 따라 채취하거나 또는 KS F 2425의 규정에 따라 만든다.

3. 시험 방법

1. 평평한 바닥에 강제평판을 놓는다.

2. 슬럼프 콘을 그위에 올린다.

3. 믹스트럭에서 레미콘을 받아 슬럼프 콘 안에 3층으로 나눠서 채운다.

4. 각 층은 다짐봉으로 고르게 다진다(약25회)

5. 다질 때 재료분리가 나올 염려가 있을때는 다짐수를 줄인다.

6. 각 층을 다질 때 다짐봉의 다짐 깊이는 그 앞 층에 거의 도달할 정도로 한다.

7. 슬럼크 콘 상단을 고르게 한다.

8. 슬럼프콘을 천천히 연직으로 들어올린다.

9. 콘크리트의 중앙부에서 슬럼프콘 상단까지와 높이 차를 5mm단위로 측정한다.

슬럼프콘의 중심축에 대하여 레미콘이 치우치거나 무너지거나 해서 모양이 불균형이 된 경우는

다른 시료에 의해 재시험을 한다.

 

슬럼프콘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시작하고 나서 슬럼프콘의 들어 올리기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3분 이내로 한다.

 

 

이 시험을 150루베마다 한번씩 하고 허용 오차는 아래와 같다.

 

미통과시 회차

 

4. 시험 순서도

4. 시험 보고

1) 일시

2) 날씨

3) 기온

4) 배치 번호

5)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6) 콘크리트의 온도

7) 슬럼프(mm)

 

'토목 > 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량 시험  (0) 2020.08.19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KS F 2405)  (0) 2020.08.14
염화물 분석 시험(KS F 2713)  (0) 2020.08.13
평판재하시험  (1) 2020.08.11
들밀도 시험  (0) 2020.08.10

1. 시험목적

기초의 지내력을 파악하여 구조물의 기초설계 및 시공관리 계획에 필요한 제반 자료를 수집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안전 한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2. 시험 장비

- 장비(백호, 덤프 등) 1대 - 유압잭(30톤) 1대

- 재하판 1개 - 다이알게이지(1/100mm) 2개

- STOP WATCH 1개 - 수평기 및 부대장비 1식

3. 시험 방법

판재하시험은 기초저면 위치까지 굴착한 다음 지반위에 재하판을 놓고, 재하판에 하중을

가하여 그 때의 침하량을 다이알게이지로 측정하므로서 허용지내력을 알아내는 시험

1) 기초 지반 정지(위치 선정은 감리자와 협의)

2) 장비 반입

3) 다이알게이지 걸수 있는 철제 거치대 설치

4) 표준사로 유압잭 설치부분 평평하게 지반정리

5) 유압잭 설치(장비와 밀착- 약간 하중을 가한다)

6) 다이알게이지 설치

7) 감리 참석후 시험시작(사진 남길 것)

8) 시험 기록 측정 및 분석

4. 평판재하시험 성과표 및 계획서(첨부)

 

첨부파일

01.평판재하시험 성과표.xls
1.53MB

첨부파일

평판재하시험.hwp
0.67MB

첨부파일

평판재하시험 계획서(한국건설품질시험원).hwp
1.08MB

 

'토목 > 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량 시험  (0) 2020.08.19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KS F 2405)  (0) 2020.08.14
염화물 분석 시험(KS F 2713)  (0) 2020.08.13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KS F 2402)  (0) 2020.08.12
들밀도 시험  (0) 2020.08.10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F 2311)

1. 시험 목적 : 흙의 다짐정도를 파악

2. 시료의 적용범위 : 현장에서 최대입자 지름이 53MM이하인 흙을 이용한다.

3. 시험기구

4. 시험방법

5. 다짐기준

구분

기준

노체

90% 이상

노상

95%이상

동상방지층

95%이상

보조기층

95%이상

들밀도시험에 자세한 내용은 파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들밀도시험.pdf
2.66MB

 

들밀도 시험 성과표

 

들밀도시험성과표.xlsx
0.03MB

 

※ 들밀도시험 100% 이상이 나오는 원인

(실내다짐시험의 조건과 동일하게 해야 값이 제대로 나옴)

 

◎ 시험결과가 100%이상 나오는 원인

- 시료를 채취할 때 대표시료로 시험을 하기 때문에 토입자 비중이 다 다르다.

- 시험의 숙련도에 따른 오차도 있을 수 있다.

- 19mm 이상 입경의 자갈등을 포함해 습윤흙의 중량 체크할 때

- 함수비 캔의 용량은 500g 정도가 250g 보다 정확함

 

- 여러이유로 들밀도의 신뢰도가 많이 떨어짐 -> 평판으로 대체

시험결과가 100%이상 나올때의 대책

- 실내다짐시험 rd max를 보정하는 식으로 적절하게 보정할 것

(사용하는 공식이 좀 까다로움 – 조립자 보정방법)

 

-19mm 이상 자갈등이 나오면 시험공을 다시해 재시험

- 함수비 캔에 담을 흙도 입경이 19mm이하로 할것

#cad #autocad #캐드 #토목 #횡단면도 #토목도면 #도면설명 #도로도면 #잔여지 #감리 #토목cad #보고서 #측량 #레벨 #삼각대 #기성도면 #기본조사서 #지장물 #영농 #잔여지 #조사서 #토목시공 #토지보상 #모래 #평판 #성과표 #평판재하시험 #들밀도 #들밀도시험 #품질시험 #토목품질 #함수비 #자갈 #열람 #토지조서 #물건조서 #KSF2311 #협의보상 #소유권

'토목 > 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량 시험  (0) 2020.08.19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KS F 2405)  (0) 2020.08.14
염화물 분석 시험(KS F 2713)  (0) 2020.08.13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KS F 2402)  (0) 2020.08.12
평판재하시험  (1) 2020.08.11

LEVEL, 측량 관련 용어

◎ GL = Ground Level

- 대지의 레벨을 말하며, 지반고 라고도 한다.

설계시 기준레벨로 주로 사용한다.

◎ GH = Ground Height

-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대지의 고도를 말한다.

◎ EL = Earth Level

-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해발고도를 말하며, 해수면 높이로 부터 땅 레벨이므로 절대 수치이다.

주로 토목쪽에서 사용

◎ EL = Elevation Level

- 건축물의 높이를 나타내며,

주로 건축쪽에서 사용

◎ SL = Slab Level

- 슬래브 및 구조체의 바닥 상단높이로 뼈대가 되는 바닥 상부 높이를 말한다.

◎ FH = Finish Height

◎ FL = Finish Level

- 구조물의 최종 마감 높이를 말한다.

◎ CH = Ceiling Height

- 실내 바닥마감에서 천정마감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예) CH 2500 이면 바닥부터 천정까지 2500mm임을 말한다.

◎ CP = Control point

- 기준점, 대조지점

◎ BP = Base point

- 기준점

-----------------------------------------------------------

수위 관련 용어

◎ HWL = high water level

- 고수위 : 매년 1~2회 발생할 정도의 높은 수위와 유량

◎ LWL = low water level

- 저수위 : 1년중 275일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 AWL = aboundant water level

- 풍수위 : 1년중 95일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 FWL = flood water level

- 홍수위 : 몇 년 만에 1회정도 발생하는 홍수때의 수위, 배수계획이나 하천치수사업에 많이 사용

◎ OWL = ordinary water level

- 평수위 : 1년중 182.5일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 DWL = drought water level

- 갈수위 : 1년중 355일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하천을 용수원으로 하는 관개계획의 기준이됨

---------------------------------------------------------------

종평면도 관련 용어

종단곡선

BVC(Begin Vertical Curve) : 종단곡선의 시작점

VIP(Vertical Intermediate Point) : 종단곡선의 중간점

EVC(End Vertical Curve) : 종단곡선의 끝점

K : 종단곡선변화비율

K= 종단곡선길이 / i ( K = L / i )

- bvc 에서 vip 까지의 거리 ( i 1 )

- vip에서 evc까지의 거리( i 2 )

L = 종단곡선길이

i = i1 - i2

S(slope) : 경사

S = H(높이) / L(길이)

크로소이드 곡선

곡선시점(beginning of curve) : B.C

곡선종점(end of curve) : E.C

완화곡선시점 (beginning of transition curve) : BTC

완화곡선종점 (end of transition curve) : ETC

곡선중점(secant point) : S.P

교점(intersection point) : I.P

반지름(radius) : R

교각(intersection Angle) : T.L 또는 I.A

접선장(tangent Angle) : T.L 또는 T

중심각(center Angle) : I

외선장(external secant) : S.L 또는 E

중앙종거(middle ordinate) : M

장현(long chord) : C

곡선장(curve length) : C.L 또는 L

선편각(total deflection angle) : D

편각(deflection angle) : delta

현길이(chord length) : l

※참고 : 크로소이드 곡선 공식

첨부파일

크로소이드곡선공식.xls

 파일 다운로드

배수 관련 용어

◎ L = L형측구

◎ L/O = L형 종배수관

◎ D = 다이크

◎ M = 맹암거

◎ V = V형측구

◎ U = U형측구

◎ T = 토사측구

◎ B = 산마루측구(벤치플륨관?)

◎ Y = 용수개거

◎ CP = 집수정(catch pit)

◎ CF = 도수로, 집수거(catch flow)

◎ PIPE = 배수관

◎ BOX = 암거

-----------------------------------------------------------

유투브 : 코인tk

#cad #autocad #캐드 # 토목 #용어 #종평면도 #level #크로소이드 #종단곡선 #단곡선 #btc #bvc #레벨 #토목도면 #도면설명 #도로 #도로도면 #수위 #hwl #lwl #하천수위 #토목도면보는법 #종단면도보는법 #배수용어 #측구용어 #측량 #측량용어 #cp #cf #레벨용어

1. 횡배수관 (횡으로 지나가는 배수관)

횡배수관은 근입 깊이에 따라 1) 반보강 2) 완보강 두가지로 시공이 되고

관의 종류는 VR관, 흄관으로 구분된다.

- 흄관(원심력을 이용해 만들어진 배수관)

- VR관(진동을 이용해 만들어진 배수관)

- VR관이 흄관보다 강도가 더 강함, 요즘은 대부분 VR관으로 시공

1) 반보강

횡배수관의 반정도를 콘크리트로 보강해 주는 방법

2) 완보강

횡배수관의 전체를 콘크리트로 보강해 주는 방법

2. 시공방법

1) 기초 터파기

- 일반 합판 거푸집 이나 유로폼을 많이 사용한다.

- 도면과 주변 수로 고려해서 기초 레벨 산정 할 것

2) 기초 거푸집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

- 기초 거푸집이 완료되면 검측 후 콘크리트 타설

- 기초 상단 레벨은 관의 칼라 부분 고려해서 정한다.

3) 횡배수관 부설 및 관고정

- 기초 완료후 관 부설 시작

- 관 부설 후 소둔선(반생)으로 관을 고정한다

(관 고정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콘크리트 타설시 관이 움직일수 있음)

4) 구체 거푸집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

- 구체 거푸집 조립

- 반보강은 크게 문제 되지 않지만

완보강은 거푸집 밀림 방지를 위해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5) 구체 거푸집 해체

- 양생 후 거푸집 해체

6) 날개벽 및 집수정 시공

- 법면에 맞게 날개벽 각도 정한 후 시공

- 집수정은 도로 상단 레벨 고려 또는 주변 마감면, 유출부, 유입부 고려 후 시공

 

https://youtu.be/VNcCBnMGEeA

#cad #autocad #캐드 #토목 #횡단면도 #토목도면 #도면설명 #도로도면 #횡배수관 #토목도로도면 #토목cad #보고서 #횡단면도 그리기 #횡단작성 #횡단그리기 #횡단 #평면도 #토공 #배수관 #흄관 #VR관 #날개벽 #배수종편면도 #배수횡단면도 #토목시공

'토목 > 배수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암거  (0) 2023.06.20
플륨관 부설  (0) 2023.04.26
토목 시공의 이해(L형측구)  (0) 2023.03.22
측구공  (0) 2020.08.28
수량산출서 보는법(V형측구)  (0) 2020.07.13

간단하게 유동을 돌릴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유동프로그램은 설계사에서 많이 쓰고 있기는 한데 현장에서는 구하기 어려워

토공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예전에 오픈한 프로그램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시공관리]MassCurve4.0(날짜패치포함).zip
2.75MB

1. 설치가 끝나고 설치 폴더로 들어가면 백호 모양의 실행 파일이 보입니다.

2.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크랙 실행이 이제는 안되네요.ㅠ)

3. 실행을 누르면 아래의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4. 이제 입력후 사용하시면됩니다. 자세한건 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 파일 저장은 엑셀로 하셔도 되고 자체 프로그램 형식의 파일로 하셔도 됩니다.

6. 엑셀파일이 작업이 쉬우니 엑셀로 주로 이용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7. 각 항목별로 마우스 오른쪽 누르시면 세부 메뉴가 나오니 보시고 해보시면 쉽게

이용할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https://youtu.be/B5g4_Hv4ro8

 

#cad #autocad #캐드 # 토목 #횡단면도 #토목도면 #도면설명 #도로도면 #종평면도 #토목도로도면 #토목cad #보고서 #횡단면도 그리기 #횡단작성 #횡단그리기 #횡단도 #토적표 #유동표 #토공유동표 #토적집계표 #이기수량 #토공 #유토곡선 #토공운반량 #매스프로그램 #토공유동프로그램 #토공프로그램 #매스커브 # 유동 프로그램 #토공매스 #mass #masscurve #mass curve

'토목 > 토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판정  (1) 2024.03.05
토목시공의 이해(토공 기성)  (0) 2023.03.02
편경사  (0) 2020.08.26
토질주상도(시추 주상도), 표준관입시험  (0) 2020.07.20

토질주상도

1. 토질주상도 정의

지반조사로 보링공에서 채취한 시료를 현장에서 살펴보고, 판별 분류후 토질기호를 사용하여 지층의

층별, 포함물질 및 층두께 등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또한 표준관입시험, 토질시험등을 통한 지반의 경연상태와 지하수위 등을 표시하여 지하부위의 상태를 파악하여 기초설계 및 토공사 시공계획 등에 활용한다.

2. 토질주상도 필요성

파악내용

활용방안

토질 및 토층

기초의 설계

지내력(N치)

토공사 시공계획

지하수위

공법선정

지하매설물

토공사비 및 공기 파악

지반공동구

잔토량 산정

3. 토질주상도 목적

1) 공내지하수위 파악.

2) 토질의 샘플링 조사.

3) 흙막이 및 기초공사 선정.

4) 지층의 파악.

4. 토질주상도 기입내용

1) 지반조사일자 및 작성자

2) 지반조사지역.

3) 지하수위.

4) 표준관입시험에 의한 n치

5) 보링방법.

6) 발주기관 및 시공기관.

7) 지충두께 및 구성상태.

8) 심도에 따른 토질 상태.

9) 샘플링 방법.

5. 보링위치 표기

시추주상도에 표기되는 BH-1, NH-1 등의 표기는 특별한 규정에 의한 표기가 아니라 조사현장의 특성에 따라 임의로 결정합니다.

통상 BH는 bore hole 의 표기로서 “시추공”을 의미 합니다.

 

시추조사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천공직경에 따라 BX규격과 NX규격을 적용하여 굴착을 합니다. 따라서 NH 및 BH는 천공 직경에 따른 표기일수도 있고 아니면 기존의 보링공(BH)과의 구분을 위한 새로운 시추공(NH:new bore hole)을 표현한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터널(tunnel)의 경우 TB-1 등의 표기를 하기도 하고

교량(Bridge)을 BB-1, BH-1 등으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지반조사보고서의 본분을 확인하면, 구조물별 표기인지, 신구보링공의 표기인지 등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일반적 표기

BH(Bore Hole) - 기존 보링공

NH(New Bore Hole) - 새로운 보링공

※ 참고자료

첨부파일

4.+지반조사편람(제3편).hwp
5.40MB

 

-----------------------------------------------------------

표준관입시험

1. 개 요

원 위치에 있어서 흙의 연경(consistency), 상대밀도(relativity density) 등을 알기 위한 N치를 측정하는 관입시험방법을 말한다.

N치란 중량 63.5kg의 해머를 75cm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표준관입 시험용 샘플러를 30cm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횟수를 말한다.

위의 정의대로 표준관입시험에서, 30cm 관입에 필요한 타격회수가 N치인데, N치의 최대값은 50입니다

연약지반에서는 적은 타격회수에 30cm 타입이 가능할 것이고, 경질지반에서는 50회를 타격해도 30 cm 타입이 불가능할 것입니다.

N치에 대한 주상도 표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표기방법 : 타입회수는 분자로, 관입깊이는 분모로 표시한다.

(예)

3회 타입으로 30cm 관입했을 경우 = 3 / 30

50회로 타입을 중단, 그 때까지의 관입량이 15cm 인 경우 = 50 / 15

3회 타격시 갑자기 40cm가 관입(3/40)되어 30cm 관입량에 대한 보정된 N치가 필요하거나 50회를 타격하여도 15cm 밖에 관입(50/15)되지 않아 N치=50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지내력을 과소평가한다는 판단이 생겨 N치를 보정할 필요성을 느낄 경우에는

‘N치 환산방법’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② N치 환산방법 : N = ( 30 / 관입량 ) × 타격회수

 

(예)

3 / 40 : N = 30/40 × 3 = 2.25

50 / 15 : N = 30/15 × 50 = 100

---------------------------------------------------------------------------------------------------------------------------

'토목 > 토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판정  (1) 2024.03.05
토목시공의 이해(토공 기성)  (0) 2023.03.02
편경사  (0) 2020.08.26
토공 유동 프로그램(Mass Curve 4.0)  (0) 2020.07.21

+ Recent posts